흔히 말하는 여성형유방은 의학적인 여성형유방(gynecomastia)이 아닌...

목차

며칠전 운동을 담뿍 하는 젊은 남성이 여성형유방(gynecomastia, 여유증)을 호소하면서 내원하였다. 보통은 단순히 젖이 크다고 내원하는 경우가 많아서 혹여 하면서 보니 짐짓 여성형유방으로 확인되어 먼저 운동하면서 여러가지 운동보조제를 먹길래 그거부터 끊어보고 또 보자고 돌려 보냈다. 일반사람들이 표준 이야기하는 여성형유방(gynecomastia, 여유증)은 사물 어찌나 잘못알고 있다. 단순히 남성이 살이 쪄서 여성의 유방처럼 남성의 젖꼭지(유륜) 주위가 툭 튀어 나온 것을 보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엄밀히 말하면 비만의 일종으로 젖꼭지(유룬) 주위에 그냥 지방조직이 비대해 있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의학용어로는 pseudogynecomastia라고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이건 단순히 살빼야 하는 미용적인 문제로 심하면 국소부위의 살을 빼는 지방흡입술(liposuction)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각항 있다.

     (위키피디아 여성형유방(gynecomastia)난에 있는 사진, 그렇지만 내가 보기에는 이건 의학적인 여성형유방이 아니라 살짝 비만때문에 유방주위에 지방조직이 적잖이 쌓여 생긴 pseudogynecomastia 인것 같다.) 의학적으로 말하는 여성형유방(gynecomastia, 여유증)은 실제 젖이 나오는 젖꼭지(유룬) 내부의 샘(gland, 유선) 조직이 비대해 있는 경우로 이건 젖꼭지 부근 일부가 유선조직으로 인해서 조그맣게 튀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바로 안보이는 경우도 많은데,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제출물로 유륜주위를 만져서 피부 내부에 혹처럼 보이는 유선조직이 만져지는지를 정녕 확인해야 한다. 보통은 잠연히 여성형유방처럼 보인다고 내원하기도 하는데,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젖꼭지주변이 졸연히 아프다고 하면서 내원하는 경우도 많다. 남성에게서 여성형유방이 발생하는 원인은 여태껏 이내 모르지만 남성내부의 남성호르몬 및 여성호르몬의 불균형 그렇게 발생된다고 생각되고 있고, 정상적으로 성장하면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신생아기(neonatal)에 60~90%, 청소년기(pubertal)에 50~60% 뿐만 아니라 50~69세에 약 70%까지 똑바로 발생된다고 한다. 또한 많은 경우가 수시로 복용하고 있는 약물 그리하여 발생되는데, 성호르몬을 교란할 성명 있는 약물로 전립선치료약, 소화제 및 고혈압제제, 정신과약, 에이즈치료약, 곰팡이치료제 등등이 있고 운동선수들이 먹는 보조제때문에도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간질환, 신장질환 및 갑상선질환 아울러 고환종양 때문에도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면 치료는 흔히 임상적으로 성장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여성형유방이 생겼다면 그저 경과를 지켜보면 어느순간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약물로 발생한 경우라면 그대 해당약물을 중단해야 여성형유방이 호전될 것이다. 과약 개화 및 사이 혹은 갑상선 아울러 고환에 korea gynecomastia 문제가 있는지 검사를 해보는 것도 있을 복 있겠다. 이도 저도 안된다면 약물요법을 시행해볼수 있는데, 약물요법으로도 제꺽하면 치료가 안된다면 수술로 여성형유방을 일으키는 유선조직을 아주 제거할 수행 있다. 여성형유방 증세가 있는 실용례 1%에서는 남성에게서도 유방암이 발생할 가운데 있고, 약 3%에서는 내분비계 종양이 있을 복판 있기 그리하여 여성형유방 진찰시에 이런즉 암이 의심된다면 남성에게도 유방촬영 및 다양한 검사를 시행해 볼수도 있다.

<이글과 연관되어="" 읽어볼="" 수지="" 블로그글들=""> 2011/05/10 - 중년남성은 운동을 하더라도 남성호르몬이 즉속 증가되지 않습니다. 2010/08/26 - 남성호르몬이 심장병의 발병률을 높힐까? 2009/12/24 - 보디빌더들이 복용하는 남성호르몬이란? 2008/11/27 - 회춘하기 위한 DHEA 복용의 득과 실은? 2009/04/24 - 우리 몸에서는 남녀 구분없이 여성호르몬 및 남성호르몬이 있습니다. [참고] Johnson RE, Murad MH. Gynecomastia: pathophysi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Mayo Clin Proc 2009;84:1010-1015
Share: Twitter Facebook